분류 전체보기
-
[Git] 비밀번호 변경하기저장소/git 2020. 2. 16. 18:54
github을 사용하다가 비밀번호를 변경하라는 문구를 받고 웹에서 비밀번호를 변경했는데 bash 상에는 변경이 되지 않는 경우에 아래의 명령어로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초기화 시키면 됩니다.$ git push remote: Invaild username or password. fatal: Authentication failed for '깃 주소' $ git config --unset credential.helper $ git pushUsername for 'https://github.com': 유저네임 Password for 'https://유저네임@github.com': 패스워드 push 성공
-
[Golang] map언어/Golang 2020. 2. 9. 18:54
map은 key:value로 이루어져 key에 대응하는 value를 찾는 해시 테이블을 구현한 자료구조입니다. 선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package main func main() { var a map[int]string // nil값을 가지므로 (Nil Map) 어떤 값도 선언할 수 없음. make()를 사용해 map을 초기화 해줘야 사용 가능 a = make(map[int]string) a[1] = "test" //{} 내부에 값을 바로 선언 가능 b := map[int]string { 1: "test", } c := make(map[int]string) c[1] = "test" println(a[1]) println(b[1]) println(c[1]) } 아래는 map 타입의 변수에 값 체크..
-
[Golang] 배열 (array) & 슬라이스 (slice)언어/Golang 2020. 2. 9. 18:39
배열 (array)Go에서 배열의 배열크기는 Type을 구성하는 한 요소입니다. 즉, [3]int와 [5]int는 서로 다른 타입으로 인식됩니다. 배열의 선언 및 초기화는 아래와 같습니다.package main func main() { var a [3]int a[0] = 1 a[1] = 2 a[2] = 3 var b = [3]int{1,2,3} var c = [...]int{1,2,3} var d = [...]int{1,2} println(a[0]) println(b[0]) println(c[0]) println(d[0]) var aa = [2][3]int{ {1, 2, 3}, {4, 5, 6}, } println(aa[0][0]) }슬라이스 (Slice)Go 배열은 크기를 동적으로 증가시키거나 배열을 ..
-
[Golang] 함수 (function)언어/Golang 2020. 2. 9. 18:10
call by value일 땐 상관없지만 주소값을 넘길 땐 받는 함수의 파라미터 타입을 정의할 때 조심해야 합니다.package main func main() { msg := "Hello" say(&msg) println(msg) //변경된 메시지 출력 } func say(msg *string) { println(*msg) *msg = "Changed" //메시지 변경 } 함수의 파라미터 값을 가변적으로 받고 싶을 때 아래와 같이 ...을 사용합니다. (파이썬에서 *args 와 동일한 기능)package main func main() { say("One", "Two", "Three", "Four") say("Five") } func say(msg ...string) { for _, s := range m..
-
[GO] 데이터 타입 & 연산자언어/Golang 2020. 2. 9. 18:04
데이터 타입타입은 컴파일러 언어나 데이터베이스에서 늘상 보는 것과 동일합니다. 다만 아래는 사용할 때 잘 알고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문자열 타입 string: 한번 생성되면 수정될 수 없는 Immutable 타입byte: uint8과 동일하며 바이트 코드에 사용rune: int32과 동일하며 유니코드 코드포인트에 사용문자열문자열은 quote나 back quote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quote는 한 줄로만 표현이 가능하며 \n과 같은 escape 문자열을 인식하고 back quote는 여러 줄로 표현이 가능하지만 \n과 같은 escape 문자열을 텍스트로만 인식합니다. 여러 줄로 표현할 때, 엔터를 치면 해당 값은 다음 줄로 인식이 가능합니다.package main import "fmt" func m..
-
[Golang] 조건문 (if) & Switch문언어/Golang 2020. 2. 9. 16:48
조건문 (if)파이썬과 동일하게 () 괄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조건문의 조건은 반드시 boolean 타입으로 나와야 합니다. Golang에서는 다른 언어와는 다르게 조건문의 코드 스타일을 강력하게 잡고 있습니다. if문 이후 else if 나 else의 시작은 다음 줄에서 시작할 수 없으며 if문이 끝나는 동일한 라인에서 선언해야 합니다.또한 조건문에 값을 선언하여 조건문 범위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package main import "fmt" func main() { str := "123" var i int = 100 var max int = 1000 if str == "12" { fmt.Println("12") } else if str == "23" { fmt.Println("23") } ..
-
[Golang] 변수언어/Golang 2020. 2. 9. 16:37
Golang에서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1. 변수 선언 후, 값 지정하기var test int test = 102. 변수 선언과 동시에 값 지정하기var test int = 103. 타입없이 변수 선언하기var test = 100 var test1 = "100" 컴파일에서 선언된 값의 타입을 확인한 다음, 내부적으로 타입을 지정해 주는 스타일입니다.4. 동적 변수 선언하기test := "vary" 3번과 유사하지만 변수라는 형태인 var 없이 선언하는 스타일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표현은 함수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함수 밖에서는 var를 사용해야 합니다.5. 동일 타입을 가지는 복수개의 변수 선언하기var i, j int i = 10 j = 20 var i, j int = 0, 0 i..
-
[Git] 브랜치 (branch) 다루기저장소/git 2019. 12. 8. 19:37
앞에서 커맨드를 사용해 저장소 생성, 커밋, 푸쉬하는 법을 다뤘습니다. 여기서는 브랜치 생성, 머지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브랜치 확인명령어를 통해 현재 어떤 브랜치가 있고 활성화된 브랜치가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 branch= * master (END) 현재 master 브랜치만 존재합니다. *가 붙어있는 브랜치가 현재 활성화된 브랜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옵션 -v를 추가하면 브랜치마다 마지막 커밋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 branch -v * master 48fc51f [ahead 1] test2 (END)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를 확인하려면 -r 옵션을 추가하면 됩니다.$ git branch -r origin/HEAD -> origin/master origin/maste..
-
[Python] 여러 진수로 변환하기 (3진수, 4진수, 11진수 등등)언어/파이썬 & 장고 2019. 12. 8. 17:58
파이썬에서는 2진수, 8진수, 10진수, 16진수로 쉽게 변환할 수 있도록 내장함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3진수나 4진수와 같이 다른 진수로 변환하고자 하면 직접 구현을 해야 합니다. (조사를 했지만 파이썬에서는 따로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이러한 요구사항 때문에 아래에 2진수부터 16진수까지 변환하는 코드를 작성했습니다.NOTATION = '0123456789ABCDEF' def numeral_system(number, base): q, r = divmod(number, base) n = NOTATION[r] return numeral_system(q, base) + n if q else n # 2진수 result = numeral_system(18, 2) # 4진수 result1 = num..
-
[Python] 2진수, 8진수, 10진수, 16진수 변환언어/파이썬 & 장고 2019. 12. 8. 17:14
먼저 파이썬은 기본 10진수이기 때문에 다른 진수는 아래와 같이 접두어가 붙습니다.2진수: 0b8진수: 0o16진수: 0x10진수에서 2진수, 8진수, 16진수 변환bin(), oct(), hex() 내장함수 사용파이썬에서 제공하는 내장함수를 사용하면 쉽게 변환 할 수 있습니다.value = 60 b = bin(value) o = oct(value) h = hex(value) print(b) print(o) print(h) # 0b111100 # 0o74 # 0x3c 결과는 전부 문자열 타입입니다.format() 내장함수 사용forrmat() 내장함수를 사용하여 위 결과와 마찬가지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value = 60 b = format(value, '#b') o = format(value, '#o'..